• INTRO
  • HOME
  • 경북대학교병원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어린이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연혁
    • 연혁
    • 설립 목적 및 기능
    • 기구조직표
  • 일반현황
    • 인원현황
    • 역대주요보직자 명단
    • 부서장 명단
    • 회의체 및 위원회
    • 2022년 주요업무현황
    • 병실현황
    • 시설현황
  • 주요업무실적
    • 진료처
      • 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내과
        • 소화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알레르기내과
        • 감염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류마티스내과
      • 외과
        • 간담췌외과
        • 위장관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유방갑상선외과
        • 혈관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흉부외과
        • 심장
        • 폐
      • 성형외과
      • 산부인과
      • 정신건강의학과
      • 신경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의학과
      • 안과
      • 영상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핵의학과
      • 재활의학과
      • 가정의학과
      • 응급의학과
      • 의공학과
      • 수술센터
      • 건강증진센터
      • 집중치료센터
      • 치과
      • 간호부
        • 일반 현황
        • 병동간호과
        • 간호지원과
        • 특수간호과
        • 외래간호과
      • 약제부
        • 약무팀
        • 조제팀
      • 진료지원실
        • 진료행정과
        • 심사팀
        • 영양팀
        • 보건의료정보관리팀
        • 진료협력팀
      • 의료질관리실
      • 감염관리실
      • 공공보건의료사업실
      •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실
        • 권역호스피스센터
        •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 국제의료사업센터
      • 수혈관리실
    • 사무국
      • 총무과
        • 인사팀
        • 총무팀
        • 복지팀
        • 물류팀
      • 원무과
      • 시설과
    • 기획조정실
      • 정보통신실
      • 기획과
      • 기획과(대외협력팀)
    • 교육연구실
    • 대구경북지역암센터
    • 감염병전문병원 건립추진단
  • 각종통계
    • 진료 통계
    • 진료과/센터별통계
      • 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내과
        • 소화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알레르기내과
        • 감염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외과
        • 간담췌외과
        • 위장관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유방갑상선외과
        • 혈관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흉부외과
        • 심장
        • 폐
      • 성형외과
      • 산부인과
      • 정신건강의학과
      • 신경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의학과
      • 안과
      • 영상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핵의학과
        • 진료통계
        • 감마카메라통계
        • PETCT통계
        • 방사면역검사실
      • 재활의학과
      • 가정의학과
      • 응급의학과
      • 의공학과
      • 수술센터
      • 건강증진센터
      • 집중치료센터
      • 치과
      • 약제부
      • 수혈관리실
    • 기타 통계
  • 국제질병분류
    • 원발 장기별 통계
    • 원발 장기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남자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여자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성별, 연령별 통계
    • 퇴원환자 질병분류 통계
    • 퇴원환자 수술 및 처치분류 통계
    • 사망원인별 질병분류 통계
  • 사진으로 보는 2022
    • 사진으로 보는 2022
home
주요업무실적
  • 연혁
  • 일반현황
  • 주요업무실적
  • 각종통계
  • 국제질병분류
  • 사진으로 보는 2022

    진료처장: 영상의학과 김갑철 교수

    감염관리실(Infection Control Office)

    실장: 감염내과 권기태 교수

    직원명단

    직종 직급 성명 비고 직종 직급 성명 비고
    직종 겸직교수 권기태 실장 간호직 4급 이경화 감염관리전담
    송경은 감염관리의사 최영신
    기금교수 이난영 5급
    황소윤
    임상강사 남은경 이혜주
    간호직 3급 임정순 팀장 김희원

    주요 활동사항

    환자관리

    가. 감염감시활동

    • 1집중치료실 감염감시 활동
      • 대상: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 기간: 2022.01.01. ~ 2022.12.31.
      • 방법: 의무기록 검토, 환자 관찰, 의료진 면담
      • 결과: 발생건수 29건, 1000재원일당 감염률 6.38% (전년도 대비 2건 증가, 감염률 0.64‰ 감소)
      • 기타: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참여하여 감시활동 수행 중
    • 2신생아집중치료실 감염감시 활동
      • 대상: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 기간: 2022.01.01. ~ 2022.12.31.
      • 방법: 의무기록 검토, 환자 관찰, 의료진 면담
      • 결과: 발생건수 3건, 1000재원일당 감염률 0.33% (전년도 발생건수 동일, 감염률 0.05‰ 증가)
      • 기타: 2019년 7월부터 KONIS-NICU 참여하여 혈류감염 감시활동 수행 중
    • 3소아집중치료실 감염감시 활동
      • 대상: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 기간: 2022.01.01. ~ 2022.12.31.
      • 방법: 의무기록 검토, 환자 관찰, 의료진 면담
      • 결과: 발생건수 2건, 1000재원일당 감염률 0.93% (전년도 대비 1건 증가, 감염률 0.5‰ 증가)
    • 4수술부위 감염감시 활동
      • 대상: 위수술, 대장수술, 직장수술, 담낭수술, 흉부수술
      • 기간: 2022.01.01. ~ 2022.12.31.
      • 방법: 의무기록 검토, 환자 관찰, 의료진 면담
      • 결과
        구분 2022년 2021년
        감시 대상 감염 건수 감염률 감시 대상 감염 건수 감염률
        KNUCH KONIS KNUCH KONIS
        위수술 498 12 2.41 1.72 567 4 0.71 2.10
        대장수술 595 6 1.01 2.94 525 6 1.14 2.84
        직장수술 334 2 0.60 1.73 450 3 0.67 2.26
        담낭수술 494 0 0.00 0.27 580 0 0.00 0.36
        흉부수술 321 1 0.31 0.06 394 0 0.00 0.05
    • 5혈류감염감시
      • 감시대상: 입원환자 중 미생물배양검사 양성자(응급실 제외)
      • 기간: 2022.01.01. ~ 2022.12.31.
      • 기준: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혈류감염 진단기준
      • 결과: 카테터관련 혈류감염 발생건수(67건), 카테터관련 외 발생건수(51건) (전년도 대비 18건 증가, 감염률 0.07‰ 증가)
    • 6요로감염감시
      • 감시대상: 유치도뇨관을 가진 입원환자 중 미생물배양검사 양성자(응급실 제외)
      • 기간: 2022.01.01. ∼ 2022.12.31.
      • 기준: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요로감염 진단기준
      • 결과: 카테터관련 요로감염 발생건수(61건) (전년도 대비 11건 증가, 감염률 0.11‰ 증가)
    • 7다제내성균, Clostridium difficile, Rotavirus 분리율 감시 및 환자관리
      • 다제내성균(6종), Clostridium difficile, Rotavirus 발생 모니터링 시행
      • 다제내성균 및 Clostridium difficile, Rotavirus 분리환자 격리조치 및 관리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 환자발생 모니터링 및 접촉자 관리, 환경관리
      • 결과: 다제내성균 중 의료관련감염병(MRSA, VRE, MRAB, MRPA)의 혈액/혈액 외 검체 분리율은 동일규모(900병상 이상) 표본감시기관에 비해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나 CRE 분리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임. Clostridium difficile 발생률은 전년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Rotavirus 발생률은 관리기준선 아래로 유지됨
    • 8감염성질환자 관리
      • 감염성질환 의심환자 선별체계 운영
        • 목적: 입원단계에서부터 감염성질환 의심환자를 미리 선별하고 예방조치를 시행함으로써 원내 유입, 전파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고 접촉자를 최소화하기 위함
        • 적용대상: 외래 진료 후 입원치료가 결정되어 대기 중인 환자
        • 절차개요: 코로나-19의 신규 유입방지를 위해 입원 전 환자와 보호자 대상 선제검사 실시 및 결과확인 후 입원
      • 감염성 환자 발생에 따른 접촉자 관리
        • 발생: 총 588건(코로나-19 472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CRE) 107건, 결핵 4건, 옴 5건)
        • 접촉자: 총 3,057명(환자 및 보호자 3,030명, 직원 27명)
        • 조치사항
          • 코로나19(자각격리 통보, 접촉자 선별검사, 보건교육, 환경소독 및 방역)
          • CRE(접촉자 선별검사, ATP측정 72회, 접촉주의지침 준수 권고)
          • 결핵(접촉자 흉부 X-ray 및 IGRA 검사 실시, 공기주의지침 준수 권고)
          • 옴(노출자 Omeclean 전신도포 1회, 표준주의 및 접촉주의 지침 준수 권고)

    나. 유행성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 1유행성 감염병 일일 감시체계 운영
      • 기간: 2022.01.01. ~ 2022.12.31.
      • 방법: 질병관리청, 세계보건기구(WHO), 미국질병관리본부(CDC) 홈페이지 및 대구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소식지를 통해 감염병 발생현황 상시 모니터링
      • 조치사항: 감염병 발생현황에 대한 해당부서 또는 전직원 알림, 교육
    • 2유행성 감염병 대응 모의훈련
      • 일자: 2022.11.30.(수)
      • 장소: 73병동 중증환자 긴급음압격리병상, 중강당
      • 참여부서: 병동간호과, 간호지원과, 총무과, 원무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 감염관리실
      • 참석자: 감염관리실장 외 21명
      • 내용: 중증환자 긴급음압격리병상에 메르스 의심환자 재원 중이며 대구시에서 메르스 의심환자 추가 입원 의뢰한 상황을 가정하여 타병원에서 메르스 의심환자가 전원되어 입원하고 치료받는 과정에 대해 대응훈련 실시
      • 평가결과 및 개선활동
        • 전용엘리베이터 응급운전 전환 시 절차 미흡
          • 담당자 지정 및 카드키 패용에 관한 사항 개선
        • pass box를 통한 검체 전달 절차 미확립
          • pass box 앞에 검체 포장 및 소독을 위한 공간 마련
          • 2차 포장 후 pass box를 통해 검체를 전달하는 절차 마련
        • 개인보호구 착·탈의 수행 미흡
          • 개인보호구 착·탈의 포스터 적극 활용과 2인 1조 수행 권장
          • 주기적인 교육 및 평가 고려
        •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훈련 필요
          • 추후 모의훈련 시나리오 마련 시 관련부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한 훈련 계획 수립 예정

    다. 법정감염병 관리

    • 2022년 법정감염병 신고현황: 총 12,020건(전년도 대비 12,132건 감소)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의심 및 확진자 신고건수: 11,547건
      • 병원체 검사결과 일일감시체계 운영으로 검사결과 양성자 사전 확인.
      • 각 질환별 격리주의 지침에 대한 해당부서 안내 및 교육 실시

    직원관리

    가. 직원감염노출 예방 및 관리

    • 1근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597 ~ 598조
    • 2기간: 2022.01.01. ∼ 2022.12.31.
    • 3발생건수: 총 124건(전년도 대비 42건 감소)
    • 4개선활동
      • 감염노출 발생 시 노출원에 따른 검사 및 추후관리
      • 감염노출 발생 시 감염노출상황에 따른 개인별 교육 및 피드백
      • 부서별 감염노출 사례 공유, 부서 내 감염노출 예방활동 자체교육 및 모니터링 격려
      • 전 직원 및 신규직원 감염노출 예방 교육 실시
      • 부서 감염관리 순회점검 시 직원감염노출 예방관리 지침 준수 여부 점검 및 점검결과 부서 피드백
      • K-u System(HIS) 내 직원공유 게시판 및 회의체를 통한 직원감염노출 현황 공유
      • 개인보호구 비치함 구비 물품 및 비치위치 표준화

    나. 손위생 증진활동

    • 1손위생 교육
      • 전직원 및 신규직원 교육
      • 수행률 낮은 부서의 부서교육
      • 실습생 실습 전 교육
      • 위탁서비스 및 입점업체 서면교육
      • 환자 및 보호자(간병인 포함) 교육
    • 2손위생 모니터링
      • 주기: 주 1회
      • 관찰자: 감염관리팀원
      • 해당부서: 환자접점부서 전체
      • 관찰방법: WHO 손위생 관찰기록지를 수정·보완한 자체개발 도구 사용
      • 조사결과: 전체 수행률 90.91%(전년도 대비 2.32% 증가)
      • 결과공유: 손위생 누락 시 현장 교육, 각 부서 수행률 부서장에게 회신
    • 3손소독제 청구수량 조사
      • 조사기간: 2022.01.01. ∼ 2022.12.31.
      • 조사대상: 손소독제를 청구, 사용하는 부서 전체
      • 지표명: 1000재원일당 손소독제 청구 수량
      • 자료수집: MIS 프로그램 내 물류팀 통계자료를 활용한 손위생제제 청구량 조사, HIS 프로그램 내 Monthly report 조회화면을 통한 부서별 재원일 수 산출
      • 결과활용: 청구수량이 없거나 적은 부서에 대한 원인분석 및 피드백
    • 4기관 내 손위생 안전문화 정착
      • 손위생 수행 모니터링 실명제 지속 실시
      • 분기별 손위생 우수직원 4명 선정 및 포상, 직원게시판 게시
      • 감염관리 주간행사 시 손위생왕 1명, 손위생 우수부서 4부서 포상 및 게시

    다. 감염관리 교육

    • 1교육연구과 주관 전 직원 교육: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교육 대체
    • 2부서방문 또는 직종별 교육: 총 42회, 726명
    • 3내용: 의료기관 감염관리(안전주사 실무, 표준주의 지침, 전파경로별 주의지침 등), 법정감염병 신고 및 관리, 격리환자 관리,
      다제내성균환자 관리, 잠복결핵 치료 및 예방, 코로나19 관련 감염관리, 개인보호구 착·탈의, 고위험 감염병 대응훈련 등

    라. 잠복결핵 양성자 관리

    • 1목적: 원내 직원 중 잠복결핵 양성자를 대상으로 앞으로 결핵 발병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를 권고, 예방수칙을 적극 안내하기 위함
    • 2대상: IGRA 검사자 895명 중 양성자 28명(3.13%)
    • 3방법: 양성자 검사 결과 개별 문자 안내, 잠복결핵 안내 포스터(치료, 치료비용 국가지원, 결핵 예방수칙 등) 원내 메일 발송, 진료 및 치료 권고

    마. 직원대상 항체검사 및 예방접종

    • 1목적: 의료기관 종사자는 업무 수행 중 다양한 감염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예방접종을 통하여 직원을 보호하며 환자에게 감염전파를 예방하기 위함.
    • 2A형간염 항체검사 및 예방접종
      • 대상
        • 항체검사: 영양팀 조리장 직원 중 만 40세 이상인 직원
        • 예방접종: 영양팀 조리장 직원 중 만 40세 이상 A형간염 항체 음성인 자 / 영양팀 조리장 직원 중 만 40세 미만인 직원
      • 시행결과: 영양팀 조리장 직원 4명 전원 항체 보유자로 대상자 없음
    • 3수두 항체검사 및 예방접종
      • 대상
        • 항체검사: 고위험 부서 직원 중 항체 검사 결과가 없는 직원
        • 예방접종: 고위험 부서 직원 중 항체 미보유자
      • 기간: 2022.06.27. ~ 2022.07.08.
      • 시행결과
        • 항체검사

          (단위: 명)

          대상인원 시행인원(%) 결과
          양성(%) 음성(%)
          115 107(93.04) 104(97.2) 3(2.8)
        • 예방접종: 항체 미보유자 10명 중 8명 접종(2021년 예방접종 미시행자 포함)
    • 4인플루엔자 예방접종
      • 대상: 직원(칠곡) 및 직원 외(경북대학교병원, 연구원, 자원봉사자, 협력업체)
      • 기간: 2022.10.04. ∼ 2022.10.14.
      • 시행결과

        (단위: 명)

        구분 대상인원 시행인원(%)
        직원 2,410 1,883(78.13)
        직원 외 271 192(70.85)
    • 5신규직원 항체검사 및 예방접종
      • 대상
        • 항체검사: 정규직 입사자
        • 예방접종: 항체 미보유자인 정규직 입사자
      • 기간: 입사 후 연중 실시(매월 대상자 개별 안내)
      • 시행결과
        • 항체검사

          (단위: 명)

          구분 대상인원 시행인원(%) 검사결과
          Positive(%) Negative(%) Equivocal(%)
          A형 간염 없음
          B형 간염 62 62(100) 55(88.71) 7(11.29) 0(0)
          수두 60 60(100) 59(98.33) 1(1.67) 0(0)
          홍역 62 62(100) 56(90.32) 5(8.06) 1(1.61)
        • 예방접종

          (단위: 명, 건)

          구분 접종인원 접종건수
          B형 간염 98 172(1차-41, 2차-64, 3차-67)
          수두 20 23(1차-4, 2차-19)
          홍역 26 36(1차-12, 2차-24)
          • * 2022.01.01. ~ 12.31. 기간 내 접종인원 및 접종건수
    • 6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 대상: 기초접종을 완료한 직원 중 추가접종 희망자
      • 기간: 2022.11.29. ~ 2022.12.02.
      • 시행결과: 113명/2,318명(4.87%)
      • 코로나19 백신 접종현황(2022. 12. 2. 기준)
        • 1차 접종: 2,328명/2,403명(96.9%)
        • 2차 접종: 2,318명/2,403명(96.5%)
        • 3차 접종: 2,022명/2,403명(84.1%)
        • 4차 및 동절기 추가접종: 140명/2,403명(5.8%)

    환경관리

    가. 부서별 감염관리 순회점검

    • 1목적
      • 부서별 감염관리 현황파악 및 개선활동을 통해 병원전체 효율적인 감염관리 도모
      •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을 위한 감염실태 확인 및 원내 확산 방지 예방
    • 2주기: 반기별
    • 3부서: 환자접점부서 및 환자 치료재료 취급부서(총 71개)
    • 4내용: 소독제, 세탁물 관리, 진료재료 관리, 환경관리(청소/소독), 삽입기구 관리, 직원감염 노출 예방관리, 감염관리 교육 등
    • 5결과
      • 전체 점수: 1차 94.2 → 2차 95.3점(+1.1점)
      • 부서별 점수
        구분(부서 수) 평균 점검항목 수 평균 충족항목 수 (충족률 %) 평균점수 (표준편차)
        1차 2차 1차 2차
        입원 부서 (24개 부서) 57 53(94) 54(94.8) 94(4.21) 94.8(2.94)
        외래 부서 (24개 부서) 36 30(94) 34(96.7) 94(4.81) 96.7(3.23)
        특수 및 검사부서, 치료재료 취급부서 (23개 부서) 36 33(90.4) 34(92.8) 90.4(10.27) 92.8(7.10)

    나. 소독 및 멸균품 정도관리

    • 1소독 및 멸균품 정도관리
      • 해당부서: 인공신장실, 약제부, 신생아집중치료실, 내시경실, 건강증진센터, CPE환자 발생부서
      • 주기: 매월 또는 분기별
      • 결과
        부서명 점검대상 점검 횟수/건 결과
        인공신장실 투석수 12회/106건 No Growth
        약제부 클린벤치 25회/144건 No Growth
        내시경실, 건강증진센터 내시경기구 및 환경 8회/214건 7건 Growth
        신생아집중치료실 수유기구(젖병) 및 환경 3회/30건 3건 Growth
        CPE환자 발생부서 병실환경 3회/31건 CRE 음성
    • 2신생아집중치료실 재원환자 ESBL 감염 발생 관련 환경 배양검사
      • 기간: 2022년 6월 재원환자 3명
      • 원인균: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추정원인: 공동 의료기기 사용, 손위생 및 환경관리 미흡 등
      • 조치사항: 손위생 수행 및 접촉주의 지침 준수 독려, 환경 배양검사
      • 결과: 추가 발생 환자 없음
    • 3방광내시경 후 감염 발생 관련 기구 및 환경 배양검사
      • 기간: 2022년 5월 ~ 2022년 7월
      • 원인균: Pseudomonas aeruginosa
      • 추정원인: 방광내시경실 장소, 내시경기구 세척제 관리 및 1차 세척 감염관리 기준 미흡
      • 조치사항: 방광내시경기구 및 세척제, 소독제, 내시경실 환경배양검사
      • 결과: 2022년 4분기 환경 및 내시경기구 배양검사 All No Growth

    다. 의료기관 건축, 보수, 철거와 관련된 감염관리

    • 1기간: 2022.01.01. ~ 2022.12.31.
    • 2원내 공사현황: 감염관리 3/4단계이상 공사 없음
    • 3원내 공사 시 감염감시
      • 감시항목: 아스퍼질러스 배양검사 및 항원검사 확인, 공사 영향 받은 부서 내 폐렴환자 발생
      • 결과: 아스퍼질러스 양성자 및 항원검사 양성자 비율 추이 분석결과 공사로 인한 폐렴발생 없음

    조직관리

    가. 감염관리위원회

    • 1주기: 분기별 1회, 필요시
    • 2개최현황
      회의명 개최일 참석자 수 주요안건
      2022년 제1차 감염관리위원회 2022.03.02. 14
      • - 2021년도 감염관리사업 결과 보고
      • - 2022년도 감염관리 중점사업 선정 및 사업계획(안) 승인
      2022년 제2차 감염관리위원회 2022.05.25. 13
      • - 2022년 1분기 업무보고
      • - 2022년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 감시 모듈 추가(건)
      • - 외부인 원내 강당 사용 허용(건)
      • - 입원환자 대상 종교활동 허용(건)
      • - 코로나19 확진자 정보제공 팝업 실시(건)
      2022년 제3차 감염관리위원회 2022.09.08. 12
      • - 2022년 2분기 업무보고
      • - 신규 입사자 B형간염, 수두, 홍역 항체검사 실시(건)
      • - 실습생 감염관리 관련 교육 실행 방안
      • - 세탁물 수집장소 구획구분
      2022년 제4차 감염관리위원회 2021.12.22. 12
      • - 2022년 2분기 업무보고
      • - 의료기간 종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대상군 변경(건)
      • - 2023년도 감염관리실 중점사업 선정
      • - 4주기 의료기관 인증조사 대비
        • 위탁서비스 업체 및 입점 업체 감염관리 교육 시행 방안
        • 감염관리가 필요한 시술장 선정

    나. 감염관리주간행사

    • 1감염관리 우수부서 및 우수직원 포상
      • 목적: 손위생과 감염관리 우수 부서 및 직원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강화함으로써 직원의 사기진작과 손위생 및 감염관리 증진활동을 촉진하기 위함
      • 포상 항목 및 선정기준
        구분 지표 기간 관찰 혹은 채점자
        손위생 손위생 수행률 2022.01.01. ~ 2022.10.31. 감염관리팀원
        감염관리 감염관리 수행률 2022.01.01. ~ 2022.11.15.
        • * 손위생 수행률: WHO 손위생 관찰기록지를 기반으로 병원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감염관리팀원 직접 관찰
        • * 감염관리 수행률: 감염관리 부서점검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감염관리팀원 직접 관찰
      • 일시: 2022.11.28.(월) 10:30~11:00
      • 장소: 6동 14층
      • 포상내역
        구분 부서 및 직원 포상금(원)
        손위생 우수부서(4부서) 핵의학과, 62병동, 25병동, 건강증진센터 1,200,000
        손위생 우수직원(1명) 영상의학과 박광호 300,000
        감염관리 우수부서(5부서) 마취회복실, 86서병동, SICU, 혈액종양내과 외래, 진단검사의학과 1,500,000
        합계 3,000,000
    • 2‘손씻GO! 마스크 쓰GO!’ 캠페인
      • 목적: 병원 직원 및 환자와 보호자를 포함하여 병원을 출입하는 모든 대상자에게 손위생과 기침예절을 교육, 홍보함으로써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함
      • 일시: 2022.11.28.(월) 11:00~13:00
      • 장소: 2동 지하 1층 직원식당, 병원 일원
      • 참가자: 환자 및 보호자, 내원객, 직원 1,000여명
      • 방법
        • 리플렛을 활용한 손위생 및 기침예절 교육 및 홍보
        • 휴대용 손소독제 배부를 통한 손위생 수행 독려
        • 마스크 제공을 통한 기침예절 인식 강화
      • 비고: 참가자에게 마스크, 휴대용 손소독제 증정
    • 3감염관리 OX 퀴즈 이벤트
      • 목적: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감염관리지침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함
      • 일시: 2022.11.28.(월) 12:00~13:00
      • 장소: 2동 지하 1층 직원식당
      • 참가자: 직원 230여명
      • 방법
        • 감염관리지침과 관련된 OX퀴즈 출제
        • 참가자가 출제된 퀴즈 중 무작위로 선택
        • 퀴즈 정답자에게 소정의 기념품 증정

    사업관리

    가. 의료관련감염병 예방·관리 사업

    • 1목적
      • 의료관련감염병 표본감시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신뢰성 있는 감시자료 수집
      • 지역 의료기관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이 부족한 의료기관에 감염관리 기술지원
      • 의료관련감염병 발생 시 감염관리 기술지원 및 예방‧관리 활동을 통해 의료관련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기 위함
    • 2사업주체: 질병관리청
    • 3사업비: 44,000천원(국고보조금 100%)
    • 4지역 참여 및 협력병원
      • 참여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 대구보건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더블유병원
      • 협력병원: 첨단요양병원, 아리채요양병원
    • 5내용
      • 의료관련감염병 표본감시체계 운영 및 지역 의료기관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의료관련감염병 예방․관리 강화 및 효과적 대응체계 구축에 기여
      • 권역 중심병원으로 참여병원 및 협력병원을 포함하여 주기적인 세미나와 워크숍 운영, 집단감염 발생 대비 훈련, 의료관련감염병 관리 및 유행대책 자문, 의료관련감염병 예방·관리사업 기획 및 수행
      • 협력병원(요양병원) 감염관리 지원 활동 수행

    연구실적

    학회발표 현황

    • 학회지 논문 개제
      개제정보 연구자 제목 비고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2, 31.2: 159-170. 임정순, 최영신 코로나19 초기 대유행 시 종합병원 감염관리간호사의 업무수행 경험
    Copyright © 202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