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RO
  • HOME
  • 경북대학교병원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어린이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연혁
    • 연혁
    • 설립 목적 및 기능
    • 기구조직표
  • 일반현황
    • 인원현황
    • 역대주요보직자 명단
    • 부서장 명단
    • 회의체 및 위원회
    • 2022년 주요업무현황
    • 병실현황
    • 시설현황
  • 주요업무실적
    • 진료처
      • 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내과
        • 소화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알레르기내과
        • 감염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류마티스내과
      • 외과
        • 간담췌외과
        • 위장관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유방갑상선외과
        • 혈관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흉부외과
        • 심장
        • 폐
      • 성형외과
      • 산부인과
      • 정신건강의학과
      • 신경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의학과
      • 안과
      • 영상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핵의학과
      • 재활의학과
      • 가정의학과
      • 응급의학과
      • 의공학과
      • 수술센터
      • 건강증진센터
      • 집중치료센터
      • 치과
      • 간호부
        • 일반 현황
        • 병동간호과
        • 간호지원과
        • 특수간호과
        • 외래간호과
      • 약제부
        • 약무팀
        • 조제팀
      • 진료지원실
        • 진료행정과
        • 심사팀
        • 영양팀
        • 보건의료정보관리팀
        • 진료협력팀
      • 의료질관리실
      • 감염관리실
      • 공공보건의료사업실
      •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실
        • 권역호스피스센터
        •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 국제의료사업센터
      • 수혈관리실
    • 사무국
      • 총무과
        • 인사팀
        • 총무팀
        • 복지팀
        • 물류팀
      • 원무과
      • 시설과
    • 기획조정실
      • 정보통신실
      • 기획과
      • 기획과(대외협력팀)
    • 교육연구실
    • 대구경북지역암센터
    • 감염병전문병원 건립추진단
  • 각종통계
    • 진료 통계
    • 진료과/센터별통계
      • 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내과
        • 소화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알레르기내과
        • 감염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외과
        • 간담췌외과
        • 위장관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유방갑상선외과
        • 혈관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흉부외과
        • 심장
        • 폐
      • 성형외과
      • 산부인과
      • 정신건강의학과
      • 신경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의학과
      • 안과
      • 영상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핵의학과
        • 진료통계
        • 감마카메라통계
        • PETCT통계
        • 방사면역검사실
      • 재활의학과
      • 가정의학과
      • 응급의학과
      • 의공학과
      • 수술센터
      • 건강증진센터
      • 집중치료센터
      • 치과
      • 약제부
      • 수혈관리실
    • 기타 통계
  • 국제질병분류
    • 원발 장기별 통계
    • 원발 장기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남자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여자 순위별 통계
    • 원발 장기 성별, 연령별 통계
    • 퇴원환자 질병분류 통계
    • 퇴원환자 수술 및 처치분류 통계
    • 사망원인별 질병분류 통계
  • 사진으로 보는 2022
    • 사진으로 보는 2022
home
주요업무실적
  • 연혁
  • 일반현황
  • 주요업무실적
  • 각종통계
  • 국제질병분류
  • 사진으로 보는 2022

    진료처장: 영상의학과 김갑철 교수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실

    실장: 혈액종양내과 김종광 교수

    • 권역호스피스센터
    •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권역호스피스센터(Regional Hospice Center)

    센터장: 가정의학과 김아솔 교수

    직원명단

    직종 직급 성명 비고 직종 직급 성명 비고
    의사직 조교수 김아솔 센터장 임시직 별정 문지예 사회복지사
    간호직 3급 류정숙 팀장 업무보조 최연수 사무원

    현황

    연혁

    • 2017.12.29. 권역호스피스센터 지정
    • 2018.02.06. 보건복지부 사업 계획서 제출
    • 2018.04.01. 권역호스피스센터 김법완 센터장 발령
    • 2018.04.09. 권역호스피스센터 책임간호사 발령
    • 2018.09.27. 대구광역시 권역별호스피스센터 운영사업 지원 확정
    • 2019.03.18. 권역호스피스센터 김아솔 센터장 발령
    • 2019.04.01. 권역호스피스센터 고미영 팀장 발령
    • 2021.01.01. 권역호스피스센터 류정숙 팀장 발령

    비전 및 목표

    • 비전: “호스피스·완화의료와 행복한 동행을”
    • 목표: 호스피스 전문기관과 병·의원 간의 통합적인 관리와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호스피스와 관련된 진료와 교육·연구·홍보에 관한 사업을 진행하여 국가 정책 수행에 부응하며 지역의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

    사업대상

    • 지역사회 암 말기 환자 및 호스피스 대상자
    •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완화의료 도우미
    • 지역사회 호스피스 종사자 및 전문기관 협의체 종사자
    • 중앙정부의 호스피스 관련 사업 종사자
    • 지역사회 주민

    사업내용

    • 권역 단위 호스피스 사업 수행의 대구·경북 거점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 교육을 통해 권역 내 호스피스 전문 인력양성과 역량 강화
    • 권역 내 보건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확충 및 기능 강화
    • 호스피스 대상 환자에게 호스피스·완화의료 제공
    • 중앙정부 보건정책에 대한 적극 호응
    • 권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홍보
    • 권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 협의체 지원
    • 지역 내 호스피스 전문기관 및 관련 의료기관의 역량 강화
    • 지역사회 호스피스 교육 위한 체계 구축 및 교육지원
    • 공익적 임상 연구 수행

    주요 활동사항

    교육사업

    행사명 내용 시행일 인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 보수교육 호스피스 병동에서 자원봉사자가 갖춰야할 자세와 역할로 말기암 환자에 대한 통증 조절 및 돌봄 기술, 림프 마사지, 임종증상 및 임종돌봄, 환자돌봄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으로 낙상 및 환자 안전교육과 감염관리교육 등
    (교육자료 동영상 배포)
    2022.06.07. ~ 2022.07.22. 212명
    돌봄제공자 양성과정 호스피스 병동에서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유용하게 상담할 수 있는 의사소통 및 상담기법
    (온라인 zoom 강의 - covid19로 비대면 교육)
    2022.06.24. 35명
    호스피스 이러닝 온라인 실습교육 운영
    • - 호스피스 조직 및 전문기관 소개
    • - 전인적 평가와 돌봄계획 수립
    • - 요법과 돌봄지원
    • - 환자 가족을 위한 치유의 의사소통
    • - 직종별 교육(의사/간호사)
      (온라인 zoom 강의 - covid19로 비대면 교육)
    2022.07.28. 16명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교육과정Ⅱ
    (실무교육)
    말기환자에 대한 전인적(全人的)평가 방법과 돌봄계획 수립 방법, 환자와 가족에 대한 의사소통 및 상담법, 말기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를 포함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내용 총 60시간 이상
    (온라인 zoom 강의 - covid19로 비대면 교육)
    2022.08.31. ~ 2022.09.02. 29명
    호스피스·완화의료종사자 보수교육 암성통증관리를 위한 중재적 치료방법, 암화자의 디스트레스 관리, 수용전념치료의 활용, 생애말기 전신증상 돌봄을 주제로 호스피스 영역에서 활동하는 종사자에게 실무적인 도움 2022.11.18. 31명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원 사업

    행사명 내용 시행일 인원
    호스피스 전문기관 보조활동인력 심화교육 호스피스 환자를 보조하고 가족들의 간병 부담을 덜어주는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들에게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의 역할과 자세’에 대한 보수교육 자료를 배포
    (교육 자료 배포 - covid19로 비대면 교육)
    2022.04.04. ~ 2022.04.29. 95명
    대구·경북 호스피스전문기관 협의체 통증 캠페인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통증관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도록 대구·경북 호스피스 전문기관 협의체 통증캠페인을 개최하여 암환자 및 비암성환자의 통증조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개선을 도모
    (대구·경북 호스피스전문기관으로 리플렛과 홍보물품 지원)
    2022.05.02. ~ 2022.05.31. 1,130명
    호스피스전문기관 소진예방 힐링프로그램 사운드 테라피와 크리스탈 싱잉볼 요법 강의를 통해 심리·정신적으로 소진되어 있는 종사자들에게 심신수련의 기회 마련, 후각 요법인 아로마 테라피를 제공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절망, 좌절을 완화시켜 휴식과 위로의 시간을 제공 2022.11.25. 34명

    호스피스·완화의료 홍보 사업

    행사명 내용 시행일 인원
    홈페이지 개발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이용자 접근성 강화 및 권역호스피스센터 사업 운영 활용을 위한 홈페이지 개발 2022.03.01. ~ 2022.04.30. 지역사회시민
    통증캠페인 암성통증캠페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을 위한 카드뉴스 제작 및 배포 2022.05.16. ~ 2022.06.14. 지역사회시민
    대중매체 홍보 TBC 라디오 캠페인 지역사회 주민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사별가족 돌봄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및 서비스 홍보를 위한 라디오 캠페인 기획
    (40초*1일 4회 송출)
    2022.06.01. ~ 2022.06.30. 대구·경북 지역 주민
    호스피스의 날 세계 호스피스의 날 기념 호스피스 오해와 진실에 대한 지하철 디지털 포스터 제작 및 송출 2022.10.01. ~ 2022.10.30. 지역사회시민
    찾아가는 홍보서비스 홍보 1차: 국민건강보험공단
    2차: 대경대학교
    3차: 상주 적십자병원 구급대원
    4차: 경상북도 119 구급대원
    5차: 대구·경북 암 관련 종사자
    6차: 산격성당
    7차: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간호관리자
    1차: 2022.04.11.
    2차: 2022.06.10.
    3차: 2022.06.16.
    4차: 2022.07.14.
    5차: 2022.09.27.
    6차: 2022.12.01.
    7차: 2022.12.09.
    대구·경북 지역 주민 279명
    소식지 발간 권역호스피스 소식지를 발행하여 대구·경북 호스피스전문기관, 병·의원 및 관공서, 사회복지기관 273곳에 배부 2022.11. ~ 2021.12. 273기관 500부

    연계사업

    가. 권역 내 호스피스전문기관과의 연계

    행사명 내용 시행일 참여기관
    호스피스전문기관 지원
    • - 호스피스 전문기관 대표단 1차 간담회 (22년도 사업운영을 위한 일정 조율 등 논의)
    • - 호스피스 전문기관 대표단 2차 간담회 (22년도 사업성과 보고와 23년도 사업운영을 위한 논의)
    1차: 2022.03.14.
    2차: 2022.11.25.
    대구·경북 호스피스 전문기관 협의체 (14기관)
    협의체 통증캠페인 지원
    (리플렛 및 홍보물품)
    2022.05.01. ~ 2022.05.31.
    호스피스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2022.03. ~ 2022.12.
    권역 내 호스피스 전문기관과의 연계 (홍보) 호스피스 전문기관 소개
    카드뉴스 제작 및 배포
    2022.05. 7권역내 14개 호스피스 전문기관
    호스피스 소식지 자료제공 및 공동참여 2022.11. ~ 2022.12.

    나.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연계

    행사명 내용 시행일 참여기관
    교육 서울시 북부병원 자원봉사자 보수교육 자문회의 2022.02. 서울시 북부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원 대상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
    2022.04.11.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구경북지역본부,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 1차: 2022.06.16.
    2차: 2022.07.14.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대구·경북지역암센터 권역호스피스 2022.09.27. 대구·경북지역암센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경북대학교 간호학부생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연명의료결정법 교육 진행 2022.03. ~ 2022.11. 경북대학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대경대학교 간호학부생 연명의료결정법 교육 진행 2022.06.10. 대경대학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홍보 메디엑스코 대구국제의료관광전 행사 참여 및 부스운영 2022.07.02.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대구시
    워크숍 공공보건의료사업 실무자를 위한 역량강화 워크숍 참가 2022.12.06.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정례회의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사업
    제 2차 원내협의체 회의 참가
    2022.12.06.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다. 중앙 및 타 권역별호스피스센터와의 연계

    행사명 내용 시행일 참여기관
    정례회의 중앙-권역별호스피스 정례회의 참석 2회 1차: 2022.04.06.
    2차: 2022.11.29.
    중앙 - 전국 권역별호스피스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교육과정Ⅱ 사례공유 2022.09.21. 중앙 - 전국 권역별호스피스센터
    홍보 부울경 호스피스의 날 기념 홍보영상 기획(무산) 1차: 2021.12.20.
    2차: 2022.03.07.
    3차: 2022.06.07.
    4차: 2022.06.27.
    5차: 2022.07.18.
    6차: 2022.08.12.
    7차: 2022.08.23.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7권역)
    울산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8권역)
    부산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10권역)
    교육 충남대학교병원 돌봄제공자 양성과정(상담역량강호 프로그램) 자문 및 모니터링 1차: 2022.05.27.
    2차: 2022.06.03.
    3차: 2022.06.10.
    충남대학교 권역호스피스센터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심포지엄 제6회 호스피스 심포지엄 참석 2022.10.07. 중앙 - 권역별호스피스센터
    기념행사 제10회 호스피스의 날 기념식 참석 2022.10.07. 중앙 - 권역별호스피스센터
    워크숍 호스피스 전문기관 지정평가위원회 운영 워크숍 회의 참석 2022.12.20. 중앙 - 권역별호스피스센터

    라.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

    행사명 내용 시행일 인원
    공공보건 의료사업 2022년 대구광역시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서 제출 2022.02.09.
    2021년 대구광역시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 추진 실적 제출 2022.05.02.
    홍보 지역사회 책자 및 소식지 지자체 배포 2022.11.13. ~ 2022.12.14. 273기관
    500부
    Copyright © 202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Rights Reserved.